[mac] Homebrew 의 동작 방식에 대한 간략한 이해

2022. 8. 15. 07:20Dev/Note

Homebrew

Homebrew is a free and open-source software package management system that simplifies the installation of software on Apple's operating system, macOS, as well as Linux

<Wikipedia, homebrew(link)>
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(or Linux)

<Homebrew(link)

Homebrew 가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은 저 두 문단보다 더 간단하게 정리할 수 없어 생략한다.

 


How?

Homebrew(이하 brew)는 ruby 와 git 기반으로 되어 있으며 패키지 저장소로 github을 사용하고 있다. 그렇다고 해서 brew 가 모든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설치파일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. 패키지 저장소에는 각 패키지의 정보, 다운로드 url, checksum, 의존성 정보 그리고 install 명령을 정의하고 있는 ruby 파일(.rb)을 가지고 있다.

 

아래는 몇가지 패키지의 설치파일이며 공개된 소스코드이니 어떤 정보들이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.

  • node : Platform built on V8 to build network applications  (link)
  • zsh : UNIX shell (command interpreter) (link)
  • vim : Vi 'workalike' with many additional features (link)

Ruby 의 문법에 대해서 모르기 때문에(시간을 들여 학습을 할 만큼의 관심이 깊지 않기 때문에)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 보다는 아래에 정리한 도식 정도로 간략하게나마 이해하고자 한다.

 

'Dev > No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ac] brew update? upgrade?  (0) 2022.08.16